Windows 돋보기 조작 단축키

Windows 에서 제공하는 돋보기를 단축키로 제어할 수 있네요.

단축키 기능    
 Windows + 돋보기의 실행 및 배율 높이기 Windows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 키를 누릅니다.  
Windows – 돋보기의 확대 배율 낮추기 Windows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 키를 누릅니다.   
 Ctrl Alt I (영문 아이)  돋보기 화면 색상 반전 기능 끄고 켜기 CTRL 키와 ALT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I 키를 누릅니다.  

WIndows 는 Windows Logo 키를 의미합니다.

키보드의 제일 아랫줄에 윈도우 로고 그림이 있는 키가 있습니다.

 

컴퓨터를 뜯지 않고 하드웨어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

현재까지 나온 거의 대부분의 하드웨어 장치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버젼도 있지만 그 특성상 DOS 용이 더 나은 것 같습니다.

프로그램 이름은 hwinfo 이고 홈페이지는 이곳 입니다.

DOS용은 이곳, 윈도우 32 bit용은 이곳, 64 bit용은 이곳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DOS용은 프로그램만 있고 OS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니 DOS 부팅 디스크 이미지를 구해서 WinImage 같은 디스크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HWInfo를 집어넣어 부팅이 가능하도록  CD로 구워서 쓰는것이 여러모로 편합니다.

이것만 있으면 거의 대부분의 하드웨어를 컴퓨터 케이스를 열지않고도 주변장치나 마더보드에대한 거의 모든걸 알아 낼 수 있습니다.

이용도로 또 쓸만한 것이 바로 최신 버젼의 리눅스 부팅씨디나 Live CD 입니다.

  • 부팅되고난 직후의 커널 메시지를 ‘dmesg’ 를 실행해서 보는 방법
  •  /proc fs에 익숙하시면 직접 참조 하는 방법
  • lspci 를 실행하시면 이 또한 많은 장치들에 대해서 알려 줍니다.

이 프로그램을 부팅가능한 플로피나 그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한 부팅 CD로 만들어 두면 정말 편합니다.

Windows 7을 사용하는 컴퓨터의 화면을 반전시켜 좀더 편하게 보는 방법

고대비 모드에서는 브라우저의 이미지가 표시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 방법을 소개합니다.

윈도우 7의 돋보기를 이용한 전체 화면 반전모드가 Aero 테마에서만 작동합니다.

저시력 환자의 경우 에어로 테마는 화면의 내용을 거의 볼 수 없는 테마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설정 하는 것이 편할 것 입니다.

위 동영상은 그 순서를 보여주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동영상에서 보여주는 내용을 글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키보드의 CTRL 키와 왼쪽 SHIFT키를 누른 상태로 Print Screen키를 눌러 고대비 모드로 들어갑니다.
  2. 키보드의 WIndows 키를 누른 상태로 U 키를 눌러 ‘접근성 센터’를 엽니다.
  3. 키보드의 ALT 키를 누른 상태로 G 키를 눌러 돋보기를 활성화 시킵니다.
  4. 돋보기를 제어하는 메뉴가 자동으로 숨어 버리기 때문에, 돋보기 제어 메뉴를 사라지기 전에 찾지 못한 경우, 마우스를 화면 아래로 내려 작업 표시줄에서 돋보기를 클릭해 주시면 다시 메뉴가 나타납니다.
  5. 돋보기 제어 메뉴의 – 를 계속 클릭해서 화면 확대를 끕니다. (100%로 표시됨).
  6. 돋보기 제어 메뉴의 ‘보기’ 오른쪽에 있는 톱니 모양같이 생긴것을 눌러 설정 메뉴로 들어 갑니다.
  7. 색 반전 모드가 활성화 되도록 ‘색 반전 사용’ 에 체크 표시를 해주고 ‘확인’을 눌러서 돋보기의 화면 반전 모드 사용 설정을 마무리 합니다.
  8. 마우스 포인터를 화면 아래로 내려 작업 표시줄에서 ‘돋보기’를 오른쪽 클릭한 다음 ‘이 프로그램을 작업표시줄에 고정’을 선택 합니다.
  9. 작업 표시줄의 ‘돋보기를’ 왼쪽 클릭한 상태로 시작 버튼의 바로 오른쪽으로 옮긴 뒤에 마우스 버튼을 놓습니다.
  10. 이제부터 Windows 키를 누른 상태로 숫자 1 키를 누르면 ‘접근성 센터’에 들어가지 않아도 언제든지 돋보기가 실행되게 됩니다.
  11. 이미 실행중인 돋보기의 제어 메뉴가 보이지 않을 때에도 Windows + 1 을 눌러주시면 돋보기 제어 메뉴가 표시 되게 됩니다.
  12. 또한 Windows + 1 누른 뒤에 키보드의 ALT + F4 키를 눌러 돋보기를 언제든지 종료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Aero 테마’로 변경한 뒤에, 실제로 돋보기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Aero 테마’로 바꾼 뒤에 글자가 잘 안보일때 Windows + 1 을 눌러 돋보기를 실행하면 전체 화면이 반전되어 보입니다.

반전 화면이 필요없게 되면 다시 Windows + 1을 눌러 돋보기 제어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게 한뒤에 키보드의 ALT키를 누른 상태로 F4키를 눌러 돋보기를 종료하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단축키를 이용하는것이 빠른 전환을 할 수 있어 마우스로 일일이 찍는것보다 사용하기 편하실 겁니다.

돋보기 제어 메뉴의 + 그림을 눌러서 전체화면을 확대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 를 눌러 기본 배율 상태로 돌아올 수도 있습니다.

본인의 상태에 맞춰서 쓰시면 되겠습니다.

참고: 전체 화면이 아닌 별도의 돋보기 창이 뜨는 경우 곰플레이어나 게임같은 프로그램을 닫아보시기 바랍니다.

매킨토시 컴퓨터의 화면을 반전시켜 좀더 편하게 보는 방법

매킨토시 컴퓨터의 모니터 색상을 반전 시키는 단축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Ctrl + Alt + Command + 8

키보드의 CTRL 키와 Alt 키 그리고 Command 키를 누른 상태에서 8 키를 누르면 됩니다.

일반 색상 모드 화면 예제

위의 그림은 일반 색상 모드에서 보이는 화면 입니다.

아래 그림은 같은 화면의 색상을 반전 시켜서 얻은 화면 입니다.

반전 색상 모드 화면 예제

훨씬 보기 편하시죠 ?

조만간 윈도우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의 화면 색상 반전 방법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Internet Explorer와 Firefox를 좀더 쉽게 보는 방법

키보드의 CTRL 키와 누른 상태로 마우스의 휠 버튼을 위나 아래로 움직이시면 브라우저의 내용 화면이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 됩니다.

또는 키보드의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 또는 – 키를 눌러도 확때 또는 축소가 됩니다.

그리고  글자나 그림이 커지면 화면의 내용이 전부 표시가 안되거나 이상하게 표시되는 사이트들이 있는데, 그럴때는 기본 크기 상태로 돌아오시면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단축키는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숫자 0 을 누르시면 됩니다.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의 휠 버튼을 움직이는 방법은 브라우저 말고도 생각보다 많은 프로그램에서 동작 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해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우를 사용하는 컴퓨터의 화면을 흑백으로 만들어 좀더 편하게 보는 방법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고대비 모드를 사용하게 되면 한가지 문제가 있는데 가끔 그림이 안보인다는 겁니다.

이것이 그냥 별 의미 없는 그림이라면 별 상관이 없겠지만, 어떤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꼭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한 부분이라면 그 해당 사이트를 제대로 쓸 수가 없게 됩니다.

단순이 보이지 않는 경우는 그나마 괜찮은데, 마우스 포인터를 그 위로 올려도  아예 클릭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때는 CTRL + 왼쪽 SHIFHT + Print Screen 키를 눌러서 고대비 모드를 임시로 끄던가, 다른 방법으로는 고대비 모드를 끄고 흑백 모드를 쓸 수 도 있습니다.

이 경우 고대비 모드보다 대비는 떨어지지만 그냥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를 보는것 보다는 더 편하게 볼 수 있고, 화면에 표시 안되는 그림도 없게 됩니다.

화면을 흑백으로 바꾸는 방법으로는, 모든 Windows 에서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GrayScale Desktop v 1.01 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 입니다.

이 프로그램 자체는 종료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따러서 키보드의 CTRL + SHIFT + ESC 를 눌러서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신 뒤에 ‘프로세스’ 탭을 선택 하시고 알파벳 ‘g’ 키를 누르면, 누를 때 마다 ‘g’ 로 시작하는 프로세스들을 골라 주게 됩니다.

거기서 grayscale 로 시작하는 것을 선택한 뒤에 키보드의 ‘Del’ 키를 눌러주시면 해당 프로세르를 끝낼 거냐고 물어보게 되니 ‘Enter’ 키를 눌러주시면 종료가 될 것입니다.

참고사항

  • 모든 부분이 다 흑백으로 보여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대부분은 되니 쓸만합니다.
  •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자원을 소모합니다.

고대비 테마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화면을 좀 더 쉽게 보기

윈도우 기본 모드에서의 IE 화면 예제

윈도우 고대비 #1 상태에서의 IE 화면 예제

두개의 그림중에 한가지는 보통 볼 수 있는 흰색 바탕을 사용하는 표준 상태이고,

나머지 한가지는 검은색 바탕을 사용하는 ‘고대비 #1’ 테마입니다.

어느 쪽이 보기에 편하신가요 ?

둘다 불편함 없이 잘 보이시면 상관없으시겠지만, 고대비 테마가 훨씬 잘 보이신다면 고대비 테마를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윈도우에서 고대비 테마를 사용하는 방법은 일부러 단축키를 꺼놓지 않으셨다면

키보드의 ALT 키와 왼쪽 SHIFT 키 그리고 Print Screen 키를 동시에 누르시면 됩니다.

좀 편하게 누르는 방법은 ALT와 왼쪽 SHIFT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PRINT SCREEN 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고대비 모드도 종류가 여러가지인데, 위의 방법으로 일단 윈도우에서 기본 설정 된 고대비 테마로 바꾸신 뒤에, 여러 고대비 테마 가운데서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아서 바꿔주시면 됩니다.

Windows 7에서 고대비 테마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1. 키보드의 Windows 키를 누른 상태로 U 키를 누릅니다.
  2. 키보드의 ALT 키를 누른 상태로 U 키를 눌러 ‘고대비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3. ‘고대비 테마 선택’을 클릭하여 자신에게 맞는 고대비 테마를 선택 합니다.

‘고대비 #1’을 예로 들면, 화면의 모든 글자를 노란색으로 바꾸고 배경색은 검정색으로 바꿔주게 됩니다.

한번 설정된 고대비 테마는 CTRL + 왼쪽 SHIFT + Print Screen으로 일반 모드와 고대비 모드를 전환 할 때 기본 고대디 테마로 설정되기 때문에, 매번 자신에게 맞는 고대비 모드를 고를 필요 없이 다음부터는 CTRL + 왼쪽 SHIFT + Print Screen 을 누르시면 설정된 고대비 모드를 사용하게 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경우 이 글의 고대비 색상을 얻으려면

  1. ALT + T 키를 눌러 ‘인터넷 옵션’ 으로 들어간다.
  2. ALT + O 를 눌러 색상 설정으로 들어간다.
  3. ‘WIndows 색상표 사용’ 을 끈 다음에 아래 그림과 비슷하게 맞춘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색상 설정 화면

참고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고대비 모드를 사용할 때 그림이 표시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어쩔 수 없이 고대비 모드를 해제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