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Sense라는좋은 앱을 소개 드립니다.

안드로이드용 앱이고 시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됐습니다.

이름 
Supersense - A new kind of app for the blind

플레이 스토어 바로가기

도움을 받을 사람이 없을 때 출입구나 화장실, 의자 등을  못 찾아서 헤맨 적이 있으시다면 이 앱이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이 앱이 하는 일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람, 의자, 문, 계단, 쓰레기통, 자동차, 욕실의 싱크대, 변기, 부얶의 전자렌지,오븐, 컵, 병, 요리기구, 주방용품의 포크, 나이프, 가방, 전자제품의 컴퓨터, 렙탕,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동물등을 통신망 연결 없이도 고속으로 카메라를 비추는 대로 바로바로 알려 주는 역할을 합니다.

설치하시고 처음 실행시에만 이메일 주소를 넣고 Get started를 누르면 됩니다.
다음부터는 이메일 주소를 묻지 않습니다.
사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실행하고 왼쪽으로 두번 쓸어서 Locate 를 찾은 뒤에 더블탭하고 화면 아래에서 찾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주위를 둘러보면 그 대상을 찾게 됐을 때 삑삑 거리는 비프음으로 대상을 찾았음을 알려줍니다.
    이게 기본 모드이기 때문에 따로 Locate를 더블 탭하지 않아도 되고 화면 아래쪽의 대상들만 골라주면 됩니다.
  2. 실행한 뒤 왼쪽으로 한번 쓸어서 Explore (탐색) 모드를 더블 탭하고 화면 아래쪽 중간의 Start 버튼을 더블탭하고 카메라로 주위를 비추면 이 앱이 인식할 수 있는 위에 적은 것들을 읽어 줍니다.


***앱 자체에 Enable Talkbak 이 있는데 이 옵션을 켜거나 끈 것에 관계없이 제 스마트폰에서는 음성지원을을 켠 상태에서만 음성으로 읽어줬습니다.
참고하세요

*** 이 앱이 설리번+와 다른 점은 글자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과 (최근 업데이트로 영문의 경우 인식하는듯합니다) 사진을 찍어서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판단하는데 들어가는 기다림과 인터넷 연결로 인한 데이터 통신비용의 지출 없이 위에 적은 것들을 즉각적으로 알려준다는 것입니다.

다른 것들 인식률은 괜찮은데 선풍기, 빗금이 처진 긴 박스 등 게단과 비슷한 패턴을 가진 것들을 계단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주위에 사람이 없어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환경일 때 꽤 도움이 될 듯합니다.

 

 

릴루미노 – 오큘러스 홈 유니버설 메뉴 순서





기어VR 오큘러스 홈 공유 화면 기어VR 오큘러스 홈 설정 화면

릴루미노의 FAQ에 보면 ‘밝기를 높여도 어둡습니다. 더 밝게 할 수는 없나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스마트 폰을 기어 VR에 장착하면 자동으로 밝기를 어둡게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수동으로 밝기를 높여야 좀 더 편리하게 릴루미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릴루미노 앱을 실행시키고 VR기기 오른쪽에 위치해 있는 홈 키 (HOME KEY)를 누르거나, 그 옆의 돌아가기 키 (BACK KEY)를 오래 눌러 오큘러스 홈(Home)에 진입합니다. 진입 후, 셋팅 메뉴를 통해 밝기를 수동으로 조절합니다.
이 부분은 사용방법/설정하기 메뉴에 좀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방법의 설정을 보면

  1. VR기기를 작동하여 오큘러스 홈 화면에 진입합니다.
  2. VR기기의 ‘Back 버튼’을 3초간 누르고 있으면 프로필화면에 진입합니다.
  3. 우측의 버튼 중 가운데에 위치한 셋팅 버튼을​ 선택합니다.
  4. 셋팅화면으로 넘어가면 상단의 밝기, 대비 조절바를 본인에 맞게 조절합니다.
  5. VR기기의 ‘Back 버튼’을 눌러서 프로필 화면으로 되돌아갑니다.
  6. 다시 한 번 ‘Back 버튼’을 눌러서오큘러스 홈 화면으로 되돌아갑니다.

라고 돼 있지만 오큘러스 홈 화면의 인터페이스가 너무 작아서 아이콘이 있다는 것 정도만 어렴풋이 알 수 있었고 글자는 전혀 안 보였습니다.

그래서 화면을 캡쳐하여 메뉴 구조를 외우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화면을 보시면 인터페이스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화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설정 -> 밝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조절 막대의 끝부분을 기어VR 오른쪽의 터치패드로 선택하고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려 최대로 설정한 다음 기어VR의 뒤로가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아래 메뉴의대분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탐색    사람    공유    설정

이중 제일 오른쪽 아래에 밝기가 있습니다.

대비 설정은 어디에 있는지 못 찾았습니다.

각 메뉴별 세부 메뉴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탐색
홈     라이브러리     스토어     인터넷     검색

사람
프로필     친구     이벤트

공유
라이브 스트리밍     동영상녹화     스크린샷 찍기     카메라툴

기어VR 오큘러스 홈 공유 화면

 

설정
밝기     볼륨     뷰 재설정     모두보기

기어VR 오큘러스 홈 설정 화면

 

 

 

 

 

 

릴루미노 – 저시력인을 위한 VR 시각보조 앱.

 

 

 

 

 

저시력인들을 위해 근거리, 원거리 휴대 및 탁상용 독서확대기를 안경 형태의 VR 기기에 구현했다고 보면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사용상에 있어서 가장 좋은 건 좀 크긴 하지만 안경 형태라 두 손이 자유롭습니다.

갤럭시 휴대폰을 기어VR에 끼워서 쓰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작아서 가방에 휴대할 수 있습니다.

여태까지 이런 제품을 몇 개 봐왔지만 정말 싸고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압도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외국 제품들이 몇 개 눈에 띄었지만, 너무 고가에 현지까지 가서 자신에게 맞는지 확인해야 하고 그 비용도 릴루미노와는 비교도 안되게 비싼 제품들만 있었습니다.

즉 외국까지 가는 차비도 안 되는 비용이라는 것입니다.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 이건 위의 동영상을 보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릴루미노에 대해 알게 된 것이 1월 13일쯤이고 2018년 01월 15일날 체험관에 가서 시연해 봤고 드디어 어제 (2018년 01월 26일)에 갤럭시 노트8과 기어VR (SM-R325)를 마련해서 본격적으로 써보고 있습니다.

릴루미노 홈페이지

 

 

 

 

 

 

Optelec Compact 5 HD 소개

특징

  • 1.5 배에서 18 배 까지의 연속적인 확대 배율

확대 버튼 (+)과 축소 버튼 (-)을 누르고 있는동안 연속적으로 확대, 축소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써, 버튼을 한 번 누를 때마다 단계적으로 확대, 축소가 되는 방식보다 훨씬 사용이 편합니다.

어떤 대상을 볼 때, 자기가 볼 수 있는 충분한 확대배율을 얻기 위해서는 적게는 두 세 번, 많게는 열 번도 넘게 버튼을 눌러줘야 되는데 이게 상당히 자주 일어나는 일고 굉장히 짜증나는 일입니다.

  • 고해상도의 오토 포커스 카메라 사용으로 보다 보기 편한 꺠끗한 이미지
  • 5 인치 와이드 스크린
  • 읽기 편한 고대비 세미 컬러 지원
  • 돋보기 처럼 근거리에서도 동작하고 최대 1.2 m 떨어져서도 볼 수 있음.

상품 레이블등을 볼때 근거리만 된다면상품에 손이 닿을 거리까지 접근해야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키가 작다거나, 만지면 데거나 젖거나 기타 수많은 이유로 접근 할 수 없거나 접근해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1.2 m 까지 떨어져서 볼 수 있다는 특징은 근거리만 되는 제품들과 구별되는 아주 큰 장점입니다.

  • 화면의 틸트 (앞 뒤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능)

이거 상당히 획기적인 디자인으로 보입니다. 위의 동영상으로 볼때 정말 손과 목이 편해질 듯 합니다.

  • 보기 편한 고대비의 설정 화면
  • 설정 메뉴에 들어가지 않고 모드 버튼을 3 초간 누름으로써 조명을 끌 수 있음.
  • 읽을 대상 위에서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설계
  • Innovative lighting design for a consistently-lit on-screen image

화면상의 이미지에 일관된 조명을 보여주는 혁신적인 조명 디지안’ 이라는 말 같은데 위의 동영상을 보면 보고자 하는 대상에 빛의 반사 없이 볼 수 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아마 그것과 관련된 것 같습니다

  • 화면 저장 가능
  • 연속 세 시간의 배터리 사용 시간

가장 최신의 제품답게 기존제품과 차별화된 여러 개선점들이 보입니다.

이상 동영상과 소개 페이지를 보고 제 나름대로 정리한 소개글이었습니다.

 

Optelec Compact 5 HD 공식 사이트